질환·치료

셀리악병(실리악병) 증상, 원인, 검사, 치료방법, 글루텐에 대해 알아보자

hi-med 2025. 4. 13. 23:3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셀리악병(실리악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증상부터 원인, 검사 방법, 치료법, 그리고 글루텐과의 관계까지 함께 살펴보도록 할게요.

 

실리악병이란?

실리악병은 글루텐에 민감한 사람의 소장에서 자가면역 반응이 일어나 점막이 손상되는 만성 질환입니다.


단순한 소화장애가 아니라, 치료하지 않을 경우 영양 흡수 장애, 불임, 골다공증, 성장 지연 등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리악병의 원인

  1. 유전적 요인
    실리악병 환자의 대부분은 HLA-DQ2 혹은 HLA-DQ8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유전자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실리악병이 발병하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위험 인자로 여겨집니다.
  2. 면역 체계 이상
    면역 체계가 글루텐을 이물질로 인식해 소장 점막을 공격하면서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글루텐 섭취
    밀, 보리, 호밀 등에 포함된 단백질 글루텐은 실리악병의 주요 유발 요인입니다.
  4. 환경적 요인
    조기 또는 과도한 글루텐 섭취, 장내 미생물의 변화, 유아기의 바이러스 감염 등도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실리악병의 증상

증상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소화기 증상 외에도 전신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인 피로감
  • 복부 팽만감 및 복통
  • 체중 감소 또는 성장 지연
  • 만성 설사 또는 변비
  • 피부 발진
  • 철분 결핍성 빈혈

※ 어떤 분들은 별다른 소화기 증상 없이 골절, 빈혈, 불임 등의 문제로 처음 진단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리악병 검사 방법

  1. 혈액 검사
    • 항내장항체 검사
    • 항조직트랜스글루타미나제(tTG) 항체 검사
      → 자가면역 반응을 확인합니다.
  2. 유전자 검사
    • HLA-DQ2 / DQ8 유전자 여부를 확인합니다.
  3. 소장 내시경 및 조직검사
    • 소장 조직을 채취해 융모(장 점막 돌기)가 손상됐는지 확인합니다.

 

실리악병 치료 방법

실리악병은 완치가 어려운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하지만 글루텐 섭취를 완전히 제한하면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이 가능합니다.

  1. 글루텐 프리 식단 유지
    • 밀, 호밀, 보리 등 글루텐이 포함된 식품을 완전히 배제
    • 감자, 쌀, 옥수수, 메밀 등은 안전하게 섭취 가능
  2. 영양소 보충
    • 손상된 소장 점막으로 인해 부족해진 엽산, 철분, 칼슘, 비타민D 등을 보충
    •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영양 상태 점검이 필요

 

※ 식단을 엄격히 유지하지 않으면 재발 가능성이 높고, 심할 경우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셀리악병은 단순한 알레르기가 아닌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증상이 가벼워 보이더라도 방치하면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특히 글루텐 프리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므로, 식습관에 대한 인식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