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장마철 비 오는 날 우울해지는 이유와 극복 하는 방법

hi-med 2024. 12. 29. 01:20
반응형

장마철에는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습니다. 이는 날씨 변화로 호르몬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흐리고 비 오는 날에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고, 행복감을 주는 세로토닌은 줄어듭니다.

 

멜라토닌은 주로 밤에 잠을 자도록 돕는 호르몬인데, 과도하게 분비되면 우울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장마철에 우울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데, 심한 경우에는 우울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은 일반적으로 장마철에 나타나지만, 가을겨울에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봄에 우울감이 생긴다면, 이는 계절성 우울증이 아닐 가능성이 큽니다.

 

계절성 우울증의 주된 특징은 우울한 기분이 계절에 따라 달라지며, 여름에는 증상이 나아지고 가을겨울에는 악화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여성에게 주로 나타나며, 지속적인 우울감, 무기력, 불면증, 체중 변화, 집중력 저하, 자살 생각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장마철 우울증은 일반적인 우울증과는 다릅니다. 일반적인 우울증은 뇌의 안와전두피질좌측 아래 두정엽의 활성화가 줄어드는 경향이 보이지만, 장마철 우울증은 일조량활동량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사람마다 타고난 뇌의 기능 차이에 따라서 날씨나 계절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장마철 우울증은 보통 일시적이지만, 만약 매년 반복된다면 만성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광치료를 사용하여 빛을 많이 쬐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에 10,000lux 이상의 빛을 쬐면 약 1주일 정도 후에 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강도 유산소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면 우울증을 예방하고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